Stock/기술적분석
-
Ep.12 _ 시장구조이론 _ 일목균형표Stock/기술적분석 2021. 7. 1. 12:12
일목균형표 일목균형표 : 주가의 움직임을 5개의 선 - 전환선, 기준선, 후행스팬, 선행스팬1, 선행스팬2을 이용한 지표입니다. 지수나 지수 관련 대형주 흐름을 예상하는데 큰 도움을 줍니다. 하지만, 소형주에서는 해석상에 오류가 많이 발생합니다. 전환선 : 9일 최고가, 9일 최저가의 평균값 기준선 : 26일 최고가, 26일 최저가의 평균값 후행스팬 : 각 봉의 종가를 26일 과거로 되돌려 표시한 값 선행스팬1 : 전환선과 기준선의 중간값을 26일 선행한 값 선행스팬2 : 52일 최고가, 52일 최저가의 평균값 ※ 매매방법 * 기준선 - 기준선은 추세의 기준이 되는 선으로 기준선 위에 캔들이 있을 시 매수영역, 기준선 아래에 캔들이 있을 시 매도영역입니다. * 전환선 & 기준선 조합 - 전환선이 기준선을..
-
Ep.11 _ 시장구조이론 _ 엘리어트파동Stock/기술적분석 2021. 7. 1. 11:02
엘리어트파동 엘리어트 파동의 기본법칙 ① 한 번의 움직임은 상승5파와 하락3파, 총 8개의 파동으로 이루어집니다. ② 충격파동과 조정파동이 존재합니다. ⑴ 충격파동 : 1파, 3파, 5파, A파, C파 ⑵ 조정파동 : 2파, 4파, B파 충격파동 특징 * 1파 : 새로운 추세의 시작점입니다. 일반적으로 충격파동 5개 중에서 가장 짧습니다. * 3파 : 가장 강력한 파동입니다. 일반적으로 충격파동 5개 중에서 가장 깁니다. * 5파 : 추세의 막바지국면입니다. * A파 : 이제까지의 다른 새로운 추세가 시작됩니다. * C파 : 투매로 급락하는 경향이 있습니다. 조정파동 특징 * 2파 : 1파의 38.2%, 61.8% 만큼 조정합니다. * 4파 : 3파의 38.2% 만큼 되돌리는 경우가 많습니다. * B파 ..
-
Ep.10 _ 지표분석 _ 추세 반전형 지표 (RSI)Stock/기술적분석 2021. 7. 1. 09:05
RSI RSI : 현재 추세의 강도를 백분율로 나타내어 언제 주가 추세가 전환될것인가를 예측하는데 유용한 보조지표입니다. ① RSI의 값이 70 이상이면 과도 매수 상태로 판단하여 매도 시점으로 생각할 수 있고, 30 이하이면 과도 매도 상태로 생각되어 매수 시점으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. ② RSI의 값이 30 이하이거나 70 이상일 때 주가 추세와 Divergence가 나타나면 추세 반전 신호로 판단됩니다. ③ 주가가 상승 추세로 보이고 있을 때 RSI의 값이 직전 최고 수준을 돌파하지 못하고 하락하다가 직전 저점을 하향 돌파하는 순간이 매도 시점이 되며, 반대로 주가가 하락 추세를 보이고 있을 때 RSI의 값이 직전 최저 수준을 돌파하지 못하고 상승하다가 직전 고점을 상향 돌파하는 순간이 매수 시점이..
-
Ep.9 _ 지표분석 _ 추세 반전형 지표 (Stochastics)Stock/기술적분석 2021. 7. 1. 09:05
Stochastics Stochastics : 일정 기간 동안의 주가 변동폭 중에서 금일 종가의 위치를 백분율로 나타내는 지표입니다. Stochastics 해석 : ① %K가 20% 이하로 하락했다가 다시 상승하는 경우 매수 신호이며, 80% 이상으로 상승 했다가 다시 하락하는 경우 매도 신호입니다. ② %K 값이 %D 값을 상향 돌파하여 상승하게 되면 매수 신호이고 하향 돌파하여 하락하게 되면 매도 신호입니다. ③ 주가와 %K 추세 사이에 Divergence가 발생하면 곧 추세 전환이 발생하리라는 신호입니다. Stochastics Fast와 Stochastics Slow 중에 Stochastics Slow 지표를 더 많이 쓰는데, 이유는 Fast 지표에는 페이크 신호가 많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. Div..
-
Ep.8 _ 지표분석 _ 이동평균선 지표 (Bollinger Bands)Stock/기술적분석 2021. 7. 1. 09:05
Bollinger Bands Bollinger Bands : ① 기준선 상하에 두개선 총 3개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, Bollinger Bands의 상, 하한선은 표준 편차에 의해 산출된 이동평균 값입니다. ②주가나 지수의 움직임이 큰 시기에는 Bands의 폭이 넓어지고 움직임이 작은 시기에는 Bands의 폭이 좁아지는 특성이 있습니다. Bollinger Bands 사용방법 : ① 지지 저항 : 상단 밴드는 보통 저항권으로, 하단 밴드는 지지권으로 작용합니다. ② 가격과의 교차 : 보합권에서 상단 또는 하단 밴드를 주가가 뚫고, 밴드의 폭이 넓어지게 되면, 주가의 추세가 밴드를 뚫은 방향으로 전환되는 가능성이 매우 높아집니다. ※ 지표 조건 설정에서 Period, D1에 따라 Bollinger Bands..
-
Ep.7 _ 지표분석 _ 이동평균선 지표 (Envelope)Stock/기술적분석 2021. 7. 1. 09:04
Envelope Envelope : 주가의 이동평균선과 이동평균선의 ±m% 선을 함께 그린 것을 이동평균선에 대한 Envelope 선이라 합니다. ① +m% 선을 저항선으로 -m% 선을 지지선으로 인식합니다. ② 주가가 저항선에 도달했을 때를 매도 신호로, 주가가 지지선에 도달했을 때를 매수 신호로 인식합니다. 등락이 큰 주식일수록 Envelope 곡선의 범위를 더 크게 합니다. 기본값이었던 Period 20, Percent 6 값 사용 시 지지선과 저항선의 접촉이 많아 값을 바꿔보았습니다. Period 15, Percent 10 로 변경하니 지지선과 저항선의 접촉이 줄어들어 기간을 둬 매매하기 더 편해집니다. ※ 지표 조건 설정에서 Period, Percent에 따라 Envelope값이 달라집니다.
-
Ep.6 _ 지표분석 _ 이동평균선 지표 (MACD)Stock/기술적분석 2021. 7. 1. 09:02
MACD MACD : 주가의 단기 이동평균선과 장기 이동평균선의 수렴과 확산을 나타내는 보조지표입니다. MACD는 12일간의 지수평균과 26일간의 지수평균의 차이를 산출하여 다시 9일 지수평균값으로 산출한 값입니다. 매매방법에는 시그널 교차, 기준선 0의 교차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. 먼저 시그널의 교차방법에는 시그널선 (보라색)을 MACD선 (주황색)이 상향 돌파할 시 매수, 하향 돌파할 시 매도 대응할 수 있습니다. 기준선 0의 교차방법에는 0을 기준으로 MACD 막대가 상향돌파 시 매수, 하향돌파 시 매도 대응으로 합니다. ※ 지표 조건 설정에서 Short, Long, Signal에 따라 MACD값이 달라집니다.
-
Ep.5 _ 지표분석 _ 거래량 관련 지표 (OBV)Stock/기술적분석 2021. 7. 1. 09:00
OBV OBV : 거래량은 항상 주가에 선행한다는 것을 전제로 거래량 분석을 통해 주가를 분석하는 보조지표입니다. OBV는 현재 매집 단계에 있는지, 분산 단계에 있는지를 분석하는 보조지표입니다. 큰 변동 없이 정체 상태에 있을 때 주가의 추세 방향을 예측하는데 유용한 지표입니다. ① 주가는 계속 하락하고 있지만 OBV는 횡보할 경우, 조만간 주가 상승이 예상됩니다. ② 주가는 계속 상승하고 있지만 OBV는 횡보할 경우, 조만간 주가 하락이 예상됩니다. ③ 주가가 횡보하고 있을 때 OBV 선의 고점이 계속 상승할 경우 조만간 주가 상승이 예상할 수 있고, OBV 선의 고점이 계속 하락하는 경우는 조만간 주가 하락이 예상할 수 있습니다. 매매 방법 : 박스권 가격 라인에서 Signal선 (보라색)을 OBV..